모지스 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지스 블라는 라이베리아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47년 코트디부아르 국경 근처에서 태어났다. 그는 정비사로 훈련받았으며, 독일어, 프랑스어, 아랍어에 능통했다. 라이베리아 내전에서 장군으로 복무했으며, 2000년 부통령, 2003년에는 대통령직을 잠시 역임했다. 2008년 시에라리온 특별 법정에서 테일러 재판에 증언했으며, 2013년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이베리아의 부통령 - 스티븐 벤슨
스티븐 벤슨은 라이베리아의 제2대 대통령으로, 메릴랜드 아프리카 식민지를 라이베리아에 합병하고 여러 국가로부터 외교적 승인을 얻었으며 라이베리아 원주민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 라이베리아의 부통령 - 윌리엄 톨버트
윌리엄 톨버트는 라이베리아 대학교를 졸업하고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으나, 쿠데타로 살해당하면서 아메리코-라이베리아인의 정치적 지배가 종식되었다. - 라이베리아의 대통령 - 조지 웨아
조지 웨아는 1990년대 세계 최고의 공격수 중 한 명으로, FIFA 올해의 선수와 발롱도르를 수상한 라이베리아의 정치인이자 전 축구 선수이며, 선수 은퇴 후에는 라이베리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 라이베리아의 대통령 - 스티븐 벤슨
스티븐 벤슨은 라이베리아의 제2대 대통령으로, 메릴랜드 아프리카 식민지를 라이베리아에 합병하고 여러 국가로부터 외교적 승인을 얻었으며 라이베리아 원주민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 2013년 사망 - 남덕우
남덕우는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과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하고 제14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 2013년 사망 - 오탁근
오탁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찰총장 및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활동하다 10·26 사건 처리 후 강제 퇴임, 이후 법무부 장관,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변호사 등으로 활동했다.
모지스 블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모세스 블라 |
원래 이름 | Moses Zeh Blah |
직함 | 라이베리아의 대통령 |
대통령 재임 | |
임기 시작 | 2003년 8월 11일 |
임기 종료 | 2003년 10월 14일 |
이전 대통령 | 찰스 테일러 |
다음 대통령 | 규드 브라이언트 |
부통령 재임 | |
임기 시작 | 2000년 7월 24일 |
임기 종료 | 2003년 8월 11일 |
이전 부통령 | 이녹 도골레아 |
다음 부통령 | 웨슬리 모모 존슨 |
대통령 | 찰스 테일러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47년 4월 18일 |
출생지 | 토웨 타운, 라이베리아 |
사망일 | 2013년 4월 1일 |
사망지 | 몬로비아, 라이베리아 |
소속 정당 | 국민 애국당 |
2. 생애
모지스 블라는 라이베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찰스 테일러 정권 하에서 부통령을 지냈고 테일러의 사임 이후 잠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코트디부아르 국경 근처 님바 카운티에서 태어나, 사무엘 도 정권에 의해 아내를 잃은 경험을 공유하며 찰스 테일러와 함께하게 되었다.[1][2] 리비아에서 게릴라 훈련을 받고 라이베리아 내전에 참전하여 테일러 휘하의 장군으로 활동했다.[1][2] 테일러가 대통령이 된 후에는 리비아와 튀니지 주재 대사를 거쳐, 2000년 이노크 도고레아의 사망 이후 라이베리아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1][2]
부통령 시절 그는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소탈한 모습을 보였으며, 일반적인 군복 대신 아프리카 전통 의상을 즐겨 입고 자신의 지프를 직접 운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3년 테일러가 가나에서 평화 회담에 참석 중일 때 권력 장악을 시도하라는 외부의 권유가 있었으나 실행하지 않았고, 테일러 귀국 후 잠시 가택 연금을 당하기도 했다. 같은 해 8월 테일러가 사임하고 망명하자 블라는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과도 정부 출범 전까지 약 2개월간 재임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자신을 비판하는 반군 세력에게 화해를 제안하며 "과거는 잊고 힘을 나누자"고 호소했다.
퇴임 이후 2008년, 그는 헤이그의 시에라리온 특별 법정에 출석하여 찰스 테일러의 재판에서 증언했다.[1][2] 2009년에는 라이베리아 진실화해위원회(TRC)에서 RUF 사령관 샘 보카리에 살해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블라는 2013년 4월 1일 몬로비아의 한 병원에서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4]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947년 코트디부아르 국경 근처 라이베리아 북동부 님바 카운티의 토웨 타운(Towe Town)에서 기오족으로 태어났다.[1][2] 그는 원래 정비사로 훈련받았으며, 독일어, 프랑스어, 아랍어에 능통했다. 아내 네티(Nettie)와의 사이에 여러 자녀와 손주를 두었다.1985년 자신의 아내를 포함한 수백 명을 학살한[2] 당시 대통령 사무엘 도에 대한 공동의 증오심 때문에 찰스 테일러와 함께하게 되었다.[1] 그는 리비아의 게릴라전 캠프에서 테일러와 함께 훈련을 받았으며,[1][2] 1990년대 라이베리아 내전 당시 장군(사령관)으로서 테일러를 지원하며 복무했다.[1][2] 1997년 테일러가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블라는 리비아와 튀니지 주재 대사직을 맡았다.[1][2]
2. 2. 정치 경력
블라는 코트디부아르 국경 근처 북동부 님바 카운티의 기오어를 사용하는 마을인 토웨 타운에서 태어났다. 그는 1980년대 당시 대통령 사무엘 도에 대한 공통적인 증오심 때문에 찰스 테일러와 합류했다. 사무엘 도 정권 하에서 블라의 아내를 포함한 수백 명이 1985년 학살당한 경험이 영향을 미쳤다. 그는 리비아의 게릴라전 캠프에서 테일러와 함께 훈련을 받았다.1990년대 라이베리아 내전에서는 테일러 휘하의 장군으로 복무했다. 테일러가 1997년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블라는 리비아와 튀니지 주재 대사직을 맡았다. 2000년 7월, 이노크 도고레아 부통령이 사망하자(암살 또는 독살 의혹이 제기됨) 블라가 라이베리아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부통령 시절 블라는 자신의 지프를 직접 몰고 다니며, 경호원과 운전사를 대동하는 대신 소탈한 모습을 보였다. 일반적인 올리브색 군복 대신 흐르는 듯한 아프리카 의상을 즐겨 입었으며, 자신을 따라다니는 보디가드의 존재에 불편함을 표현하기도 했다.
2003년 6월, 테일러가 평화 회담을 위해 가나로 출국했을 때, 미국으로부터 테일러 부재 시 권력을 장악하라는 권유를 받았다고 전해지나, 블라는 이를 실행하지 않았다. 당시 테일러는 시에라리온에서의 전범 혐의로 시에라리온 특별 법정에 의해 기소된 상태였다. 테일러가 귀국한 후 블라는 열흘간 가택 연금되었으나, 이후 무죄로 풀려나 부통령직에 복귀했다.
같은 해 8월 11일, 테일러가 사임하고 나이지리아로 망명하자 블라는 잠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10월 과도 정부가 출범하기 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반군 세력인 라이베리아 민주 화해 연합(LURD) 등은 블라가 테일러와 밀접한 관계이며 그의 정책을 이어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블라는 반군을 "형제"라고 부르며 "과거는 잊읍시다. 힘이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나눌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화해를 시도했고, 반군을 자신의 집으로 초대해 협상을 제안하기도 했다.
2008년 4월 7일, 블라는 헤이그에 있는 시에라리온 특별 법정에서 진행 중인 테일러의 재판에 증언하기 위해 소환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증언에 응해 "진실을 말할 것"이라고 했으며,[1] 2008년 5월 14일 실제 증언에서 소년병 문제와 테일러와 포데이 산코의 관계 등에 대해 진술했다.[2] 2009년 2월 1일에는 라이베리아 진실화해위원회(TRC)의 한 증인에 의해 RUF 사령관 샘 보카리에 살해 사건에 블라가 연루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망명한 찰스 테일러 대통령의 해체된 대테러 부대(ATU) 고위 사령관 출신인 이 증인은 블라 부통령이 음모에 가담했고 님바 카운티의 티아플레이 마을에서 보카리 살해에 직접 참여했다고 주장했다.
블라는 2013년 4월 1일 이른 아침, 몬로비아의 존 F. 케네디 병원에서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사망 전 심장 이상을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확한 사인은 공개되지 않았다.[4]
2. 3. 대통령직 승계 및 이후
2003년 6월, 찰스 테일러 대통령이 가나에서 열린 평화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자리를 비운 사이, 시에라리온에서의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미국이 블라에게 테일러 부재 중 권력을 장악하도록 권유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블라는 이를 실행에 옮기지 않았다. 테일러가 귀국한 후 블라는 열흘 동안 가택 연금되었지만, 이후 혐의를 벗고 부통령직에 복귀했다.같은 해 8월 11일, 테일러가 결국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나이지리아로 망명하자, 블라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과도 정부가 출범하는 10월까지 약 2개월간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대통령 취임 후, 반군 세력이었던 라이베리아 민주 화해 연합(LURD) 등은 블라가 테일러와 밀접한 관계였기 때문에 그의 정책을 그대로 이어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블라는 반군을 "형제"라고 칭하며 "과거는 잊읍시다. 힘이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나눌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화해를 시도하고 자신의 집으로 초대해 협상을 제안하기도 했다.
2008년 4월 7일, 블라는 헤이그에 있는 시에라리온 특별 법정에서 진행 중인 찰스 테일러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라는 소환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진실을 말할 것"이라고 언급했으며,[1] 실제로 2008년 5월 14일 법정에 출석하여 소년병 문제와 테일러와 포데이 산코의 관계 등에 대해 증언했다.[2]
2009년 2월 1일, 라이베리아 진실 화해 위원회(TRC) 청문회에 출석한 한 증인은 블라가 RUF 사령관 샘 보카리에 살해 사건에 연루되었다고 주장했다. 망명한 찰스 테일러의 해체된 대테러 부대(ATU) 고위 사령관 출신이라고 밝힌 이 증인은 블라 부통령이 음모에 가담했으며, 님바 카운티의 티아플레이 마을에서 보카리 살해에 직접 참여했다고 증언했다.
블라는 2013년 4월 1일 이른 아침, 수도 몬로비아의 존 F. 케네디 병원에서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정확한 사망 원인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사망 직전 심장 관련 이상 증세를 호소했던 것으로 전해진다.[4]
3. 개인사
1947년, 코트디부아르와의 국경 근처 닌바 카운티 북동부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다. 1980년대 당시 대통령이었던 새뮤얼 도에 대한 반감을 공유하며 찰스 테일러와 함께 활동했다. 1985년, 새뮤얼 도 정권이 자행한 민족 학살로 인해 블라의 아내를 포함한 수백 명이 목숨을 잃는 비극을 겪었다. 이후 블라는 테일러와 함께 리비아의 게릴라 캠프에서 훈련을 받았고, 1990년대에 벌어진 라이베리아 내전에서는 사령관으로서 테일러를 지원했다.
1997년 테일러가 대통령에 취임하자, 블라는 리비아와 튀니지 주재 대사직을 맡았다. 2000년 6월에는 이노크 도고레아 부통령이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도고레아의 죽음을 두고 독살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부통령으로서 블라는 온화하고 겸손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운전수를 대동한 대규모 차량 행렬보다는 직접 자신의 지프를 몰고 시내를 다녔으며, 올리브 그린색 군복 대신 아프리카 전통 의상을 즐겨 입었다. 또한 자신을 항상 따라다니는 보디가드들에 대해 불편함을 자주 표현했다고 전해진다.
2003년 6월, 테일러 대통령이 평화 회담을 위해 가나를 방문한 사이, 블라는 권력 장악을 시도했다. 이 시도에는 미국이 관여했다는 설이 있다. 당시 테일러는 시에라리온에서의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된 상태였다. 테일러가 귀국한 후 블라는 10일 동안 가택 연금되었으나, 이후 풀려나 부통령직을 유지했다.
같은 해 8월 11일, 테일러가 나이지리아로 망명하면서 블라는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 그는 10월 과도 정부가 출범하기 전까지 약 2개월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반정부 세력이었던 라이베리아 민주 화해 연합(LURD)은 블라가 테일러와 가까우며 그의 정책을 이어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블라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반정부 세력을 "형제"라고 부르며 화해를 시도했고, "과거는 잊고 힘이 있다면 서로 나누자"고 호소했다.
2013년 4월 1일, 수도 몬로비아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 정확한 사망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사망 전 심장 이상을 호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4]
블라는 본래 정비사로 훈련을 받았으며, 독일어, 프랑스어, 아랍어에 능통했다. 아내 네티와의 사이에 여러 자녀와 손주를 두었다.
참조
[1]
뉴스
Former Liberian vice-president says he will testify in Taylor trial
http://afp.google.co[...]
2008-04-07
[2]
뉴스
Charles Taylor's former deputy testifies
http://www.mg.co.za/[...]
Mail & Guardian Online
2008-05-14
[3]
웹사이트
Former Liberian President Moses Blah Dies
https://abcnews.go.c[...]
2013-04-01
[4]
뉴스
Former Liberian President Moses Blah Dies
http://abcnews.go.co[...]
ABC
2013-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